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견적서에 적힌 숫자만 믿고 인테리어 계약하셨다면 최대 20%까지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계신 걸 수 있습니다. 오늘은 인테리어 실제 마진 구조와 사기 업체를 피할 수 있는 꿀팁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.

    1. 견적서 속 마진의 진실

     

    많은 분들이 견적서에 기재된 마진율만 보고 업체의 정직성을 판단합니다. 하지만 이 마진은 대부분 조작된 숫자일 수 있습니다.

    A업체 마진 10%, B업체 마진 20%라고 할 때, A업체가 싸게 보일 수 있지만 자재비에 숨은 마진을 포함한 총 금액은 동일할 수 있죠. 결국 마진율보다 총 견적 금액을 비교해야 합니다.

    2. 공사 중 추가 비용의 함정

     

    공사가 시작되면 고객은 집을 인질로 잡힌 상태가 됩니다. 자재 변경, 구조 변경 등을 이유로 더 비싼 자재나 추가 공사 비용을 요구받기 쉽습니다.

    공사 시작 후에는 울며 겨자 먹기로 동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, 계약 전 추가 비용 관련 조항을 꼼꼼히 명시해야 합니다.

    3. 사기 인테리어 피해 사례와 현실

     

    최근 5년간 1,584건의 인테리어 피해 사례가 접수되었으며, 40%는 잠수형 먹튀 사기로 추정됩니다. 자재만 갖다 놓고도 공사를 시작했다는 이유로 처벌이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.

    대기업 대리점도 예외가 아닌데, 실제로는 개인사업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본사에서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.

    4. 인테리어 구조 이해하기

     

    인테리어는 업체 → 반장 → 작업자 순으로 작업이 진행됩니다. 반셀프 인테리어를 시도하는 분들도 있지만, 결국 시간 투자 + 품질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다.

    따라서 믿을 수 있는 업체가 작업자 네트워크를 잘 관리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.

    5. 인테리어 업체 고르는 타이밍과 방법

     

    인테리어 업체는 최소 2~3개월 전부터 알아봐야 합니다. 플랫폼을 통한 비교 견적 또는 직접 방문(발품)을 조합하여 선택하세요.

    디자인이 확실하다면 3D 시안 제공이 가능한 업체를 선택하면 결과물 예측이 용이합니다.

    6. 믿을 수 있는 인테리어 업체 고르는 5가지 체크포인트

     

    ① 실내건축공사업 면허 확인

    1,500만 원 이상의 공사는 반드시 실내건축공사업 면허가 필요합니다. 면허 미보유 업체와 계약 시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습니다.

    ② 기술자 관리 시스템 확인

    작업자의 경력, 자격, 평가 시스템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. 인테리어는 결국 작업자의 실력이 가장 중요합니다.

    ③ 하자보증 증권 유무

    하자보증 증권은 업체가 A/S를 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보험입니다. 최소 1년 보증, 공사비의 0.3%~1% 수준 보험료로 발급됩니다.

    ④ 계약서 필수 항목 확인

    공사 일정, AS 기간, 지체 보상금, 3D 시안 여부 등은 반드시 계약서에 명시하세요. 추가 비용 방지를 위한 특약도 중요합니다.

    ⑤ 상세 견적서 제공 여부

    공사 항목, 자재, 수량, 단가가 명확히 적힌 견적서를 요구하세요. 견적서 없는 업체는 신뢰할 수 없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인테리어, 이제는 더 이상 호갱 되지 마세요. 오늘 알려드린 팁으로 사기 없는, 정직한 인테리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